728x90
[전자책] 처음 만나는 논어
공자의 이야기와 말을 담은 「논어」의 원문을 그대로 인용해 「논어」의 참뜻을 이해하는 데 길라잡이가 되어 준다. 어린이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했기 때문에 내용을 쉽게 이
www.aladin.co.kr
이 책에서 따온 내용입니다.
논어에 나오는 군자와 인자의 표현에 대해 알아볼까요?
오불인자 기위인의
불의를 미워하는 사람이 인자라고 할만하다.
유인자능호인 능오인
오진 인자만이 사람을 사랑할 수도 사람을 미워할 수도 있다.
인자만이 참 사랑이든 참 미움이든 할 수 있다는 말이네요.
아용인 사인지의
내가 인을 하고자 하면 그때 인이 이른다.
이제 어느정도 인 에 대한 감이 생기려고 하네요. 가장 결정적인 단서는 다음의 구절이라고 생각이 듭니다.
번지문인 자왈애인
번지가 인에 대해 묻자 공자 왈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하였다.
("왈" 공자왈 맹자왈... 왈 이란 뜻은 영어로 said 랑 같아요.)
결국 인 仁은 사랑이네요.
여러분이 아는 사랑의 개념은 뭔가요? 인의 개념은 뭔가요? 한번 생각해보세요.
'동양고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꼭 알아야하는 논어. 군자 vs 소인배. 유교의 이상형 군자의 특징. (0) | 2022.12.18 |
---|---|
꼭 알아야 하는 논어. 친구, 관계, 이웃에 대한 유명한 구절들. 어떤 사람을 사귀어야 할까? (0) | 2022.12.17 |
꼭 알아야 하는 논어. 나이가 듦에 따라 성숙함. 목표를 세우고 정진함에 관련된 유명한 구절 (1) | 2022.12.14 |
매일마다 고사성어 한개씩. 교학상장. 배움과 가르침 그리고 성장함에 대한 관련 한자어 (0) | 2022.12.05 |
매일 고사성어 한개씩. 조삼모사. 눈가리고 아웅할 때 관련된 한자어들 모음 (영작하기) (0) | 2022.12.02 |